소개
- 고성 교사리 삼존석불
- 이 삼존석불은 2구의 서 있는 불상[-像]과 1구의 앉아있는 불상[坐像]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위치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42년에 유보성 화상(-普城和尙)이 암자[石佛庵]를 짓고 다시 모셨다.
서방 극락정토(極-淨土)를 주재하는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가 중앙에 본존불(本尊佛)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그 오른쪽(앞에서 볼 때는 왼쪽)에는 손에 구슬[寶珠]을 든 지장보살(地藏菩薩)이, 왼쪽에는 건장한 체구에 머리에 관을 쓰고 있는 관음보살(觀音菩薩)이 서 있다.
세 불상 모두 머리와 손, 발 등 훼손된 부분을 석고로 복원한 것이어서, 원래의 모습을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중앙의 아미타여래는 왼쪽 어깨에만 옷[法衣]을 걸친 채[右肩偏袒] 가부좌(跏趺坐)를 틀었고, 양손바닥은 무릎을 짚고 앉아 있다.
복원된 광배(光背)와 받침대[臺座]는 몸체와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지옥의 중생을 구제하는 역할을 하는 지장보살은 머리에 두건(頭巾)을 쓰지 않은 민머리[素髮]이다.
세상 사람의 소원에 따라 여러 가지의 모습으로 나타나 구원의 손길을 뻗친다는 관음보살은 주먹 쥔 오른손을 가슴에 대고 있으며 팔, 다리 등이 건장하여 마치 불법을 수호하는 금강역사(金剛-士)처럼 보인다. 본존불과 두 보살의 얼굴은 엄숙하고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는데, 이것은 고려 시대 불상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이다.
블로그리뷰
- 여행하며 역사도 만나고 맛집도 찾는...고성 교사리 삼존석불고성 교사리삼조석불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교사대독길 47-20(교사리 301-4) 고성읍 석불사 극락전에 모셔진 석조삼존불로 경남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의 위치에 파손된채...
- 남산 하늘가2023 고성기행-고성 교사리 삼존석불과 이방 박영장불망비양화리 석불이 있는 대무량사는 시간상 가지 못했고 대신 교사리 삼존석불이 있는 석불사에 들르게 되었습니다.(이쪽은 고성 시내에 있음) 석불사는 자그마한 절로 불상의 연대를 보아 고려 때 창건되었다...
- 오늘 블로그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2호) 고성 교사리 삼존석불상28 소 재 지 경남 고성군 고성읍 교사리 1235번지 시 대 통일신라 소 유 자 석불암 관 리 자 석불암 일반설명 중앙에 앉아 있는 본존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지장보살, 왼쪽에 관음보살이 서 있는 삼존불(三尊佛)...
- 짜몽's daily life ♡고성 삼존석불 석불사고성 석불사의 모든 불자분들의 가정에 청정자성한 빛이 가득하기를 바라며 날마다 부처님께 축원을 드리고 있어요! 특히 이곳은 경남 유형문화재 제122호 교사리 석조삼존불상이 있는 곳으로 유명한데요...
주변정보(3km이내)
-
서원/향교
고성향교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교사3길 41
-
문화재
고성 향교 경남 고성군 고성읍 교사3길 41
-
체육시설
테니스장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교사4길 13
-
체육시설
궁도장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교사리 83 10
찾아오시는길
현재정보
주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