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 고성 옥천사 일원
- 화산(-華山) 옥천사는 의상대사가 당(唐)나라 지엄법사(智儼法師)에게서 화엄학을 공부하고 돌아와, 화엄을 강론하기 위해 670년(신라 문무왕 10)에 창건한 절이다.
절의 이름은 대웅전 좌측에 끊임없이 솟아나는 달고 맛있는 ‘샘’[玉泉]이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지금은 비록 하동 쌍계사(雙磎寺)의 말사(末寺)이지만, 당시에는 화엄종찰(華嚴宗刹)로 지정된 화엄 10대 사찰 중의 하나였다.
이곳에 지어진 절은 여러 차례의 중창 과정을 거쳤다. 통일신라시대의 진경국사(眞鏡國師)와 고려 시대의 진각국사(眞覺國師) 등이 이 절에 기거하며 수학하였고, 임진,정유왜란 때는 구국 승병의 군영(軍營)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호국사찰의 기능도 수행하였다.
그 때문에 일본군에 의해 불타는 운명을 맞기도 하였다. 옥천사는 1700년대에는 이전에 비해 훨씬 큰 규모로 중창되었다.
일설에는 이때 이처럼 대규모로 중창이 이루어진 것은 단순한 종교적 기능뿐만 아니라, 호국 사찰의 기능까지 수행하면서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 1733년(영조 9)부터 1842년(헌종 8)까지 이 절에는 340여 명의 군정(軍丁)이 기거했으며, 12건물과 12물레방아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런 점에서 옥천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호국사찰이었던 셈이다. 20세기 들어서는 광복 이후 교단 정화와 불법 중흥을 위해 헌신한 청담대종사(淸潭大宗師)가 1927년에 첫 승려 생활을 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매년 음력 9월 27일에는 이곳에서 이 절을 개창한 의상대사와 청담대종사의 열반제(涅槃祭)가 거행되고 있다. 이 절에는 보물 제495호인 임자명반자(壬子銘飯子)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인 대웅전, 자방루, 향로, 범종 등의 문화재가 있고, 백련암(白蓮庵), 청련암(靑蓮庵), 연대암(-臺庵) 등의 부속 암자가 있다.
블로그리뷰
- 경주 구석구석 둘러보기고성 옥천사 일원고성 옥천사 일원 옥천사는 의상대사가 당나라 지엄법사(智儼法師)에게서 화엄학을 공부하고 돌아와, 화엄을 강론하기 위해 670년(신라 문무왕 10)에 창건한 절이다. 절의 이름은 대웅전 좌측에 끊임없이...
- 오늘 블로그경상남도 기념물 제140호 고성 옥천사 일원등 3개의 암자와 청담스님의 사리탑이 빼어난 조형미를 갖추고 있어 연간 30만명의 관광객이 찾아들고 있다. 고성옥천사일원 계곡과 나무 천왕문 전경 입구1 전경 입구2 전경 주차장 전경 고성옥천사 원경
- 인생은 도전이다고성 연화산 도립공원, 옥천사, 청련암, 백년암고성지역에 오실 계획이 있으시거나 와보고 싶은 생각이 나시거나 현재 남해안 일원을 관광 중이신 분들께 이 글이 소중한 자료가 되시기를 바라며 고성 가볼 만한 곳 중 옥천사란 고 사찰을 포스팅하고자...
- 순미향고성 연화산 옥천사알지도 못했던 옥천사는 꽤 유명한 호국사찰이었고 규모도 꽤 컸다. 경남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그리고 옥천사 일원은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고 한다. 성보 박물관은 잠겨 있어 볼 수...
주변정보(3km이내)
-
자연휴양림/수목원
고성북평리 찰피나무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
자연휴양림/수목원
옥천사 계곡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
사찰
옥천사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
문화재
고성 옥천사 제석천도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찾아오시는길
현재정보
주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