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공룡지질공원

한국 최대의 공룡화석지

병풍바위 주상절리

  • 주소 경남 고성군 하이면 월흥리 산 3-1
  • 지질시대 백악기
  • 대표암상유문암, 퇴적암
병풍바위 전경

병풍바위 주상절리는 연장 약 1.2 km, 높이 20 m 내외로 진동층을 암상의 형태로 관입한 유문 암의 냉각에 의해 형성되었다. 진동층은 엽층리 이암과 판상의 사암으로 구성되며, 유문암은 비현 정질 조직을 보이는 석영, 장석, 백운모, 견운모로 구성된다. 사각형 혹은 오각형의 주상절리가 발달하며, 대자율이방성(AMS) 분석 결과 층리면을 따라 관입한 유문암질 마그마의 냉각과 그에 따른 수축에 의해 형성되었다. 병풍바위에는 파도의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해식동굴이 곳곳에서 나타나며, 이 중 두 해식동굴은 쌍용굴이라고 불리며, 두 마리의 용이 살다가 승천하였다는 설화 가 내려온다. 주상절리가 발달하는 병풍바위는 아름다운 해안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전체적인 형 상이 거대한 병풍 모양을 연상케 하여 병풍바위라 불린다.

평가지표 레이더 차트

병풍바위 전경
병풍바위 전경사진.
병풍바위 해식동굴
병풍바위 해식동굴.
홍리면 주상절리
홍리면에 수직으로 발달하고 있는 주상절리.
홍리면 경계의 유동구조
홍리면 경계의 유동구조.

지질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경상분지 하양층군의 최상부층은 진동층과 이를 관입하는 유문암으로 구성된다. 진동층은 호수에서 퇴적된 판상의 암회색 혹은 회색의 이암과 유백색의 사암으로 구성되며, 드물게 응회 암, 석회암과 교호한다. 엽층리 혹은 층리를 보이며 내부에는 석회질 단괴가 발달한다. 퇴적구조로는 점이 층리, 유수연흔, 대칭연흔 등이 발달하며, 층리면에서는 공룡 발자국, 새 발자국, 무척추동물의 생흔화석 과 더불어 대칭연흔과 건열, 우흔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진동층은 유천층군 퇴적 당시의 화산활동 혹은 불국사 화강암류의 정치 시기 동안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 및 중성암맥 및 관입암류에 의해 관입되어 있으며, 이들 경계부 인근에서의 진동층은 접촉변성작용의 영향으로 매우 치밀하고 단단한 특성 을 보인다.

지형

  • 병풍바위는 해안가에 위치한 암석해안으로서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해식동굴, 파식대지가 주요 지형이다. 해식동굴은 병풍바위에서 최소 4개 이상으로 관찰되며, 간조시에 드러나는 파식대 지는 최대 폭은 약 3 m 미만이다. 퇴적암으로 구성된 지역에서 발달하는 파식대지에 비해 그 폭 이 좁은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층리면과 같은 불연속면이 존재하지 않고 암석이 단단한 이유일 것으로 추정된다. 해안절벽의 상부에는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가 발달하고 있다.

역사문화

  • 바깥세상을 구경하러 나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던 용왕의 아들을 구해준 주민이 왜구 침입 당 시, 용왕의 아들의 도움을 받아 해식동굴로 몸을 피해 목숨을 구했다는 설화와 두 마리의 용이 살다가 승천한 곳이라는 설화가 전해진다.

관광

  • 병풍바위 주상절리는 상족암군립공원 일원에 위치하여 군립공원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 많 은 관광객이 찾아온다. 주차장에서 10분 이내에 접근이 가능하며 해안 산책로 및 해안 데크가 구 비되어 있고 병풍바위에 대한 안내판이 마련되어 있다. 해안절벽 상부에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 어 안전한 관광이 가능하다.

생태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생태자연도의 별도관리구역에 해당한다. 상족암 일원 마안도에서 수행된 「무인도서 싵태조사 최종보고서 (국토환경부, 2010)」에 따르면,
    해안가는 해면동물 3종, 자포동물, 3종, 태형동물 1종, 연체동물 17종, 절지동물 9종, 극피동물 1종, 척색동물 1종 등 총 36종 이 관찰되며, 연체동물이 우점을 점하고 있다.
    해조류는 녹조류와 갈조류의 서식밀도가 높으며, 왜가리, 괭이갈매기, 직박구리 등이 관찰되었다. 인접한 근해에는 상괭이가 서식하고 있어 해양생 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위치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