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공룡지질공원

한국 최대의 공룡화석지

쇄설성 암맥과 페퍼라이트

  • 주소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393 인근
  • 지질시대 백악기
  • 대표암상퇴적암
병풍바위 전경

지진에 의한 액상화와 이에 수반된 유체화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쇄설성 암맥은 연장 20 m 이상 폭 1 m 미만으로 고성에서 보고된 쇄설성 암맥 중 가장 큰 규모를 보인다. 쇄설성 암맥은 중립사에서 잔자갈 크기의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곳에 따라 주변 진동층으로 구성된 거력 크기의 암편도 확인된다. 페퍼라이트는 쇄설성 암맥 인근에 위치하며 진동층을 관입한 중성 암맥의 경계에서 관찰된다. 페퍼라이트는 각형에서 아각형을 보이며, 화산력에서 화산암괴 크기의 중성암맥 암편이 퇴적구조가 교란된 진동층의 내부에 분포한다. 쇄설성 암맥과 페퍼라이트는 백악 기 후기 화산호 인근에 위치한 한반도의 퇴적동시기성 지진활동 및 화성활동을 보여주는 예로서 지질 교육적 가치가 크며, 대규모 쇄설성 암맥의 형성과정을 해석하는 데 있어 학술적 가치 또한 크다. 이들 노두 사이에는 보존 상태가 매우 우수한 조각류 공룡 발자국 보행열이 관찰된다.

평가지표 레이더 차트

쇄설성 암맥의 전경사진
쇄설성 암맥의 전경사진
쇄설성 암맥의 근접사진
쇄설성 암맥의 근접사진
중성 암맥 경계의 페퍼라이트
중성 암맥 경계의 페퍼라이트
쇄설성 암맥 인근 조각류 발자국 화석
쇄설성 암맥 인근 조각류 발자국 화석

지질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경상분지 하양층군의 최상부층인 진동층으로 구성된다. 진동층은 호수에서 퇴적 된 판상의 암회색 혹은 회색의 이암과 유백색의 사암으로 구성되며, 드물게 응회암, 석회암과 교호한다. 엽층리 혹은 층리를 보이며 내부에는 석회질 단괴가 발달한다. 퇴적구조로는 점이층리, 유수연흔, 대칭연 흔 등이 발달하며, 층리면에서는 공룡 발자국, 새 발자국, 무척추동물의 생흔화석과 더불어 대칭연흔과 건 열, 우흔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진동층은 유천층군 퇴적 당시의 화산활동 혹은 불국사 화강암류의 정치 시기 동안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 및 중성암맥 및 관입암류에 의해 관입되어 있으며, 이들 경 계부 인근에서의 진동층은 접촉변성작용의 영향으로 매우 치밀하고 단단한 특성을 보인다.

지형

  • 해안절벽과 파식대지로 구성되는 전형적인 해안 침식지형을 보인다. 파식대지는 조간대에 위치하 며, 완만한 경사를 보이며, 해안절벽은 높이가 10-30 m이다. 해안절벽의 상부는 경사가 완만한 평지가 발달하여 식생이 자라고 있다.

역사문화

  • 우리나라 첫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그 역사성과 상징성이 높은 곳임

관광

  •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 및 새발자국 화석 산지의 문화재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편의 및 방 호시설, 안내판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현재는 관광자원으로 사용되지 않으나, 데크 등을 이용 하여 탐방로를 연장하여 인접한 상족암 군립공원 및 경남 청소년수련원과의 연계한다면 관광자원 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태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생태자연도의 별도관리구역에 해당한다. 상족암 일원 마안도에서 수행된 「무인도서 싵실태조사 최종보고서 (국토환경부, 2010)」에 따르면, 해안가는 해면동물 3종, 자포 동물, 3종, 태형동물 1종, 연체동물 17종, 절지동물 9종, 극피동물 1종, 척색동물 1종 등 총 36 종이 관찰되며, 연체동물이 우점을 점하고 있다. 해조류는 녹조류와 갈조류의 서식밀도가 높으며, 왜가리, 괭이갈매기, 직박구리 등이 관찰되었다. 인접한 근해에는 상괭이가 서식하고 있어 해양생 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위치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