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공룡지질공원

한국 최대의 공룡화석지

어신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 주소회화면 어신리 242-2
  • 지질시대 중생대 백악기
  • 대표암상퇴적암
병풍바위 전경

어신아랫땀 마을 입구 쪽 해안에서 남쪽 해안을 따라 보존상태가 양호한 용각류 공룡과 조각류 공룡의 발자국 보행렬 화석이 나타난다. 그중 입구 쪽에 있는 중형 용각류 공룡의 발자국 화석은 28개의 발자국이 긴 보행렬을 이루고 있는데, 앞발자국과 뒷발자국이 거의 붙어 있어서 이족보행 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곳과 130 m 정도 떨어진 곳에는 발길이 9 cm 정도의 소형 용각류 공 룡의 발자국 화석 34개가 2 × 4 m 크기의 노두에 3.9 m의 보행렬을 이루며 보존되어 있고, 주변에는 조각류 공룡의 발자국 화석 보행렬도 나타난다. 2008년 경북 의성군 만천리에서 세계 에서 가장 작은 용각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기 이전까지 가장 작은 용각류 발자국으로 알려져 있었다

평가지표 레이더 차트

용각류 공룡 발자국의 보행렬
용각류 공룡 발자국의 보행렬
소형 용각류 발자국 보행렬
소형 용각류 발자국 보행렬
진동층 전경
진동층 전경
석회질 단괴
석회질 단괴

지질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경상분지 하양층군의 최상부층인 진동층으로 구성된다. 진동층은 호수에서 퇴적 된 판상의 암회색 혹은 회색의 이암과 유백색의 사암으로 구성되며, 드물게 응회암, 석회암과 교호한다. 엽층리 혹은 층리를 보이며 내부에는 석회질 단괴가 발달한다. 퇴적구조로는 점이층리, 유수연흔, 대칭연 흔 등이 발달하며, 층리면에서는 공룡 발자국, 새 발자국, 무척추동물의 생흔화석과 더불어 대칭연흔의 정 선과 건열, 우흔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진동층은 유천층군 퇴적 당시의 화산활동 혹은 불국사 화강암류의 정치 시기 동안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 및 중성암맥 및 관입암류에 의해 관입되어 있으며, 이 들 경계부 인근에서의 진동층은 접촉변성작용의 영향으로 매우 치밀하고 단단한 특성을 보인다

지형

  • 어신마을 남서쪽의 해안 반도에서 남쪽 해안을 따라서 낮은 구릉지와 함께 파식대의 층리면에 공 룡 발자국 화석이 나타난다

역사문화

  • 해당사항 없음

관광

  • 이정표가 잘 갖추어져 있고 부둣가에 주차가 가능하여 접근성이 우수하다. 안내판이 있으나 훼손 이 심한 상태이며, 발자국 화석이 위치한 파식대지에 자주 굴껍데기가 쌓여 관찰이 어렵다. 정비 한 후 주변 당항포 관광지와 연계한다면 관광자원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태

  • 해안을 따라 형성된 산지의 표면에는 다양한 식생들이 자생하고 있고, 만조 시 바닷물에 잠기는 파식대의 층리면에는 굴과 같은 해양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위치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