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공룡지질공원

한국 최대의 공룡화석지

호수퇴적층 (진동층)

  • 주소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산 31 일원
  • 지질시대 백악기
  • 대표암상퇴적암
병풍바위 전경

상족암 군립공원에 분포하는 진동층 호수퇴적층으로서, 후기 백악기 건조한 환경에서 퇴적되었다.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에서는 약 200 m 이상 연장된 호수퇴적층을 관찰할 수 있다. 호수에서 관 찰할 수 있는 층리, 점이층리, 사층리, 연흔 등의 퇴적구조를 관찰할 수 있으며, 층리면에서는 건 열과 연흔의 정선을 확인할 수 있다. 연흔의 경우 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정선의 파장이 길어지 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호수퇴적층 내에는 장축이 평행하거나 수직은 타원형의 탄산염 단괴가 관찰된다. 퇴적구조 이외에도 중성 혹은 산성암맥의 관입하고 관입암 내에는 진동층이 포획암으로 관찰된다.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2015 개정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지질구 조로 대부분 전형적으로 보이고 있어 교육적 가치가 매우 크다.

평가지표 레이더 차트

호수퇴적층의 전경
호수퇴적층의 전경
호수퇴적층 내 층리
호수퇴적층 내 층리
호수퇴적층 내 탄산염 단괴
호수퇴적층 내 탄산염 단괴
층리면의 건열
층리면의 건열

지질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경상분지 하양층군의 최상부층인 진동층으로 구성된다. 진동층은 호수에서 퇴적 된 판상의 암회색 혹은 회색의 이암과 유백색의 사암으로 구성되며, 드물게 응회암, 석회암과 교호한다. 엽층리 혹은 층리를 보이며 내부에는 석회질 단괴가 발달한다. 퇴적구조로는 점이층리, 유수연흔, 대칭연 흔 등이 발달하며, 층리면에서는 공룡 발자국, 새 발자국, 무척추동물의 생흔화석과 더불어 대칭연흔과 건 열, 우흔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진동층은 유천층군 퇴적 당시의 화산활동 혹은 불국사 화강암류의 정치 시기 동안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 및 중성암맥 및 관입암류에 의해 관입되어 있으며, 이들 경 계부 인근에서의 진동층은 접촉변성작용의 영향으로 매우 치밀하고 단단한 특성을 보인다

지형

  • 해안절벽과 파식대지로 구성되며, 퇴적구조는 파식대지에서 주로 관찰된다. 파식대지는 조간대에 위치하며, 완만한 경사를 보인다. 해안절벽은 높이가 10-30 m 이며, 해안절벽에는 해식동굴이 존재한다. 해안절벽의 상부는 경사가 완만한 평지가 발달하여 식생이 자라고 있다.

역사문화

  • 해당사항 없음

관광

  • 상족암군립공원 내에 위치하며, 천연기념물인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의 문화재 구역에 해당한다. 매년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주차장, 화장실, 안내판, 해안데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족암 군립공원사업소에서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생태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생태자연도의 별도관리구역에 해당한다. 상족암 일원 마안도에서 수행된 「무인도서 싵태조사 최종보고서 (국토환경부, 2010)」에 따르면, 해안가는 해면동물 3종, 자포동 물, 3종, 태형동물 1종, 연체동물 17종, 절지동물 9종, 극피동물 1종, 척색동물 1종 등 총 36종 이 관찰되며, 연체동물이 우점을 점하고 있다. 해조류는 녹조류와 갈조류의 서식밀도가 높으며, 왜가리, 괭이갈매기, 직박구리 등이 관찰되었다. 인접한 근해에는 상괭이가 서식하고 있어 해양생 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위치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