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공룡지질공원

한국 최대의 공룡화석지

마동호 국가습지보호지역

  • 주소마암면 삼락리, 두호리, 거류면 거산리 일원
  • 지질시대 현생
  • 대표암상-
  • 좌표35.011277,128.358441
360도 뷰 보기 > 마동호 국가습지보호지역

마동호는 내륙과 해안(당항만)의 전이 공간에 위치하여 담수와 해수가 섞이는 기수역이었으나 방 조제 건설로 해수역이 차단됨으로써 담수화된 습지이다. 마동호를 둘러싼 주변 지역에는 방조제 건설 이전, 파도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해안절벽, 파식대지, 타포니(풍화혈)가 발달하고 있으며, 넓은(34 ha) 갈대밭이 조성되어 있고 관찰데크가 있다. 식물(306종), 조류(122종), 곤충(190종), 어류(29종), 포유류(13종), 양서류(3종), 파충류(2종), 저서성 무척추동물(74종) 등 총 739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생물다양성이 매우 우수하며, 멸종위기야생동식물(23종), 천연기념물(17종), 희귀식물(2종), 보호대상 해양생물(1종) 서식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평가지표 레이더 차트

고성천 하구의 습지 전경사진
고성천 하구의 습지 전경사진
마동호의 관찰데크
마동호의 관찰데크
서식 조류의 안내판
서식 조류의 안내판
방조제 건설 전 형성된 해안절벽
방조제 건설 전 형성된 해안절벽

지질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경상분지 하양층군의 최상부층인 진동층이 분포하는 지역에 위치한다

지형

  • 마동호는 지리적인 특성상 내륙과 해안(당항만)의 전이 공간에 위치하여 담수와 해수가 섞이는 기 수역을 형성하고 있었으나, 마동호 하구의 거산방조제가 건설되어 해수역이 차단됨에 따라 차츰 담수화되고 있다. 마동호에 유입되는 가장 큰 하천은 고성천이며, 강의 하구가 육지쪽으로 만입된 염하구의 형태를 보인다. 마동호를 둘러싼 주변 지역에는 방조제 건설 이전 파도의 침식으로 형 성된 해안절벽, 파식대지, 타포니(풍화혈)가 발달하고 있다

역사문화

  • 해당사항 없음

관광

  • 남해안에서 보기 드문 넓은(34 ha) 갈대밭을 발달하고 있으며, 관찰데크가 마련되어 있고, 주차 장이 있어 접근성이 매우 우수함. 주변의 당항포 관광지 및 다수의 공룡 발자국 화석산지와 연계 하면 훌륭한 관광자원이 될 것으로 예상됨

생태

  • 식물(306종), 조류(122종), 곤충(190종), 어류(29종), 포유류(13종), 양서류(3종), 파충류(2종), 저서성 무척추동물(74종) 등 총 739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생물다양성이 매우 우수하며, 멸 종위기야생동식물(23종), 천연기념물(17종), 희귀식물(2종), 보호대상 해양생물(1종) 서식한다. 특 히,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황새, 저어새, 매, 두루미의 도래지로서 생태 보존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위치안내

찾아가는 길

    • 마동호 생태공원(마암면 삼락리 437-1) ▶ 당항만 역사 생태공원 둘레길 도보이동(약 1.8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