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공룡지질공원

한국 최대의 공룡화석지

실바위 공룡·새 발자국 화석산지와 이중 관입구조

  • 주소하이면 덕명리 산 209-2
  • 지질시대 중생대 백악기
  • 대표암상퇴적암
병풍바위 전경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의 문화재 구역에 해당하며 용각류, 조각류, 수각류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해안을 따라 곳곳에서 발견된다. 기존의 문헌 자료에 따르면 양어장 부근 의 섬(간조 시 육지와 연결)에 새 발자국 화석도 보고되었다. 이중 관입구조는 화석산지에 인접하 여 관찰 가능하며, 진동층을 관입하는 폭 1 m 미만의 중성암맥 내부에 폭 10 cm 미만의 쇄설 성 암맥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성암맥은 비현정질 조직을 보이며, 쇄설성 암맥은 원마도가 우수한 잔자갈에서 조립사로 구성되어 있다. 퇴적동시기성 구조운동 및 화성활동을 연구할 수 있어 교육 및 학술적 가치가 크다

평가지표 레이더 차트

양어장 주변 해안의 전경
양어장 주변 해안의 전경
대형 용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
대형 용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
이중 관입구조의 전경사진
이중 관입구조의 전경사진
쇄설성 암맥 접사사진
쇄설성 암맥 접사사진

지질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경상분지 하양층군의 최상부층인 진동층으로 구성된다. 진동층은 호수에서 퇴적 된 판상의 암회색 혹은 회색의 이암과 유백색의 사암으로 구성되며, 드물게 응회암, 석회암과 교호한다. 엽층리 혹은 층리를 보이며 내부에는 석회질 단괴가 발달한다. 퇴적구조로는 점이층리, 유수연흔, 대칭연 흔 등이 발달하며, 층리면에서는 공룡 발자국, 새 발자국, 무척추동물의 생흔화석과 더불어 대칭연흔과 건 열, 우흔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진동층은 유천층군 퇴적 당시의 화산활동 혹은 불국사 화강암류의 정치 시기 동안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 및 중성암맥 및 관입암류에 의해 관입되어 있으며, 이들 경 계부 인근에서의 진동층은 접촉변성작용의 영향으로 매우 치밀하고 단단한 특성을 보인다.

지형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 인근에는 해안을 따라 낮은 구릉과 해안절벽이 이어지고, 해안에는 파식대 와 자갈 해빈이 발달해 있다. 만조 시에 바닷물에 잠기는 파식대가 많으며, 공룡 발자국 화석산 지는 만조 시 섬이 되지만 간조에는 육지와 연결된다

역사문화

  • 중생대 새 발자국인 Jindongornipes 모식표본과 Koreanaornis 부모식표본이 기재 된 장소로 역사성과 상징성 높음

관광

  •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 및 새발자국 화석 산지의 문화재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편의 및 방 호시설, 안내판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현재는 관광자원으로 사용되지 않으나, 데크 등을 이용 하여 탐방로를 연장하여 인접한 상족암군립공원 및 경남청소년수련원과의 연계한다면 관광자원으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태

  • 해당 지질명소 후보지는 생태자연도의 별도관리구역에 해당한다. 상족암 일원 마안도에서 수행된 「무인도서 실태조사 최종보고서 (국토환경부, 2010)」에 따르면, 해안가는 해면동물 3종, 자포동 물, 3종, 태형동물 1종, 연체동물 17종, 절지동물 9종, 극피동물 1종, 척색동물 1종 등 총 36종 이 관찰되며, 연체동물이 우점을 점하고 있다. 해조류는 녹조류와 갈조류의 서식밀도가 높으며, 왜가리, 괭이갈매기, 직박구리 등이 관찰되었다. 인접한 근해에는 상괭이가 서식하고 있어 해양생 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위치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