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군 감염병 | 마시는 물 또는 식품을 매개로 발생하고 집단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방역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는 감염병 |
---|---|
제2군 감염병 | 예방접종을 통하여 예방 또는 관리가 가능하여 국가예방접종사업의 대상이 되는 감염병 |
제3군 감염병 |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계속 그 발생을 감시하고 방역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감염병 |
제4군 감염병 | 국내에서 새롭게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감염병신국내유입이 우려되는 해외유행 감염병으로서 복건복지부령이 으로 정하는 감염병 |
제5군 감염병 | 기생충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서 정기적인 조사를 통한 감시가 필요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감염병 |
지정감염병 | 제1군 감염병부터 제5군 감염병까지의 감염병 외에 유행여부의 조사하기위하여 감시활동이 필요하여 복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감염병 |
종류별 | 역학적특성 | 예방법 | |||
---|---|---|---|---|---|
감염경로 | 증상 | 잠복기 | |||
제1군 | 콜레라 | 균에 의한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섭취 |
쌀뜨물 같은 설사, 구토 | 2~3일 | 물은 끓여서, 조리기구는 소독 식사전에 손을 깨끗이 |
장티푸스 | 균에 의한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섭취 |
발열, 권태감, 설사등 | 6~14일 | 개인위생 준수 예방접종 | |
파라티푸스 | 환자 손에 의한 오염된 조개류, 우유섭취 |
고열, 쇠약감, 비장증대 | 2~6일 | 개인위생준수,파리구제 | |
세균성이질 | 환자나 보균자의 접촉을 통한 대변 ㆍ구강 감염 |
고열, 오한, 설사, 복통 등 | 1~3일 | 개인위생준수,파리구제 | |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O157) | 균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섭취 |
오심, 구토, 빈혈, 변성설사 | 3~8일 | 육류는 충분히 익혀서 섭취, 야채류는 소독된 물로 세척 후 섭취 | |
A형간염 | 장내 배설물 | 발열,식욕감퇴,구토,쇠약감,복통,설사 | 10~21일 | 예방접종 |
종류별 | 역학적특성 | 예방법 | |||
---|---|---|---|---|---|
감염경로 | 증상 | 잠복기 | |||
제2군 | 디프테리아 | 환자의 분비물, 배설물에 의해 감염 | 편도선, 말초신경마비 | 1~3일 | 개인위생준수,예방준수 |
파상풍 | 파상균이 사람의 상처를 통해 감염 | 두통, 불안, 팔다리가 굳어짐 | 3일 ~ 3주일 | 예방접종, 상처에 대한 외과적 치료 | |
폴리오 | 오염된 음식물에 의해 경구감염 | 불현성감염, 발열, 두통, 해열 마비 | 7~14일 | 예방접종, 음식가열살균, 위생관리철저 | |
백일해 | 백일해 균에 의한 유아 호흡기감염 | 식욕부진, 콧물, 미열, 기침, 구토 | 7~10일 | 예방접종, 환자가 사용한 물건소독 | |
홍역 | 감수성이 없는 사람이 환자접촉 | 열, 기침, 콧물, 결막염, 발진 | 9~11일 | 예방접종, 환자 접촉피함(발진후 4일까지 전염성 있음) | |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 균이 직접 접촉 | 이하선의 팽창, 부고환 및 고환 팽창 | 14~24일 | 예방접종, 환자접촉피함(증상나타난 후 9일까지) | |
일본뇌염 | 일본뇌염모기에 물릴때 감염 | 고열, 두통, 혼수상태 팔다리 마비 | 7~10일 | 예방접종,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변환경 청결히 | |
B형간염 | 수혈, 보균자, 침상습투약자 |
오한, 발열, 식욕감퇴, 피로감, 황달 등 | 50~180일 | 예방접종, 보균자와 접촉을 피함 | |
풍진 | 호흡기 격리,환자접촉 | 발진, 발열, 림프절의 통증 | 12~23일 | 예방접종, 환자와 접촉 금함 | |
수두 | 환자접촉 | 미열,발진,수포,가피, 가려움 등 | 10~21일 | 예방접종,환자와 접촉 피함 |
종류별 | 역학적특성 | 예방법 | |||
---|---|---|---|---|---|
감염경로 | 증상 | 잠복기 | |||
제3군 | 결핵 | 균에 의해 감염, 호흡기 감염 | 기침, 가래, 각혈, 식욕부진 | 미상 | 예방접종, 정기검진조기발견 치료 |
매독 | 성접촉으로 감염 | 요도염,배뇨통, 전립선,
반점, 탈모증 |
3~9일 | 환자조기발견, 감염성이 높은 집단 성접촉 금지 | |
한센병 | 나균에 의해 피부상처를 통해 감염 | 얼굴,사지,엉덩이 피부반점 | 미상 | 신환자조기발견,
환자주변, 15세이하어린이정기검진 |
|
발진티푸스 | 머릿이로 감염 | 가려움증 | 1~2일 | 개인위생준수 주변환경 청결 |
|
수막구균성수막염 | 상기도감염 비인강점막상재 |
급작스런 발열, 두통, 권태감 | 7일이내 | 예방접종,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피함 | |
신증후군출혈열 (유행성출혈열) |
한탄바이러스감염 쥐에 의해서 감염 |
발열, 오한, 두통, 출혈성 반점 | 2~40일 | 예방접종 쥐의구제 | |
인플루엔자 | 호흡기감염 | 고열, 두통, 인후통, 피로감 | 1~4일 | 예방접종 |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 에이즈에 감염된 사람과 성접촉 | 면역기증저하, 임파선 증대 | 6주~14주 | 건전한 성행활, 타인과 성관계시 콘돔사용 | |
렙토스피라증 | 농촌의 들쥐에 의해서 감염 | 갑작스런 발열 눈의 충혈 | 수일~2주 | 작업시 장화, 장갑착용, 고인물에 손발을 담그지 팔것 | |
쯔쯔가무시증 | 털진드기 유충이 사람을 물때 | 두통, 발열, 오한, 근육통, 피부반점 |
10일 | 유행지역 여행자제 들쥐에 접촉하는 환경을 피할 것 | |
비브리오패혈증 | 오염돤 어패류 생식, 상처난 피부를 통해 감염 | 급성발열, 오한, 구토, 설사, 복통, 피부병변 | 16시간 | 고위험군환자(알콜올중독자, 간장질환자, 신장질환자)어패류 생식 금지 | |
레지오넬라증 | 오염된 물속의 균이 호흡기로 흡입되어 감염 | 페렴형, 독감형 | 2일~11일 5~65시간 | 냉각탑청소, 에어컨청소등 환경정비 | |
탄저 | 감염된 가축의 고기나 제품의 피부 접촉 및 섭취 | 피부감염, 호흡기감염, 소화기감염등의 증상 | 1~7일 | 예방접종, 취급자 주의 및 사업장환경정비 | |
브루셀라증 | 감염된 동물취급자에서 피부감염 혹은 오염된 유제품 섭취로 감염 | 감기증상에서 관절염, 위장계증상 까지 다양 | 2~4일 | 예방접종, 동물예방접종 | |
공수병 | 광견병에 걸린 개에 물렸을 때 | 과민반응, 근육마비 | 3~8주 | 예방접종, 개에 물리지 않는다 | |
말라리아 | 원충에 감염된 모기가 흡혈 | 두통, 고열, 오한, 구역질 등 | 8일~30개월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함 | |
발진열 | 쥐벼룩에 의하여 사람에게 감염 | 발열, 두통, 발진 | 미상 | 쥐의 구제, 주변환경 청결 | |
성홍열 | 호흡기분비액의 비말감염 | 발열, 인후통, 구토, 팔다리 붉은 반점 | 1~4일 | 환자와의 접촉을 피함. 10일이상 항생제로 치료 | |
크로이츠펠트 | 산발적,위인성,유전형등 해면양 뇌병증 | 진행성치매,운동실조,근경련과 신경학적인징후 | 2년~30년이상 | 혈액검사,뇌파검사,노조직검사, 방사선검사,등 |
제4군 | 페스트/황열/뎅기열/바이러스성출혈열/두창/보툴리눔독소증/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조류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신종인플루엔자/야토병/큐열/웨스트나일열/신종감염병증후군/라임병/진드기매개뇌염/유비저/치쿤구니야열 |
---|---|
제5군 감염병 | 회충증/편충증/요충증/간흡충증/폐흡충증/장흡충증 |
지정감염병 | C형간염/수족구병/임질/클라디미아감염증/연성하감/성기단순포진/첨규콘딜롬/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감염증/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감염증/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감염증/다제제내성녹농균감염증/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감염증/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감염증/장관감염증/급성호흡기감염증/해외유입기생충감염증/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
담당부서보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