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좋다, 고성이 좋다! 고성군으로 오세요~
전입 및 청년지원
-
전입 축하금 지원 자세히보기
지급대상
-
전입일 기준 2년 이전부터 다른 시군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1명 이상 전입하여 3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세대
※ 전입 최초 1회 한정
지원내용
- (3인 이하) 1인당 10만원
-
(4인 이상) 70만원(3개월 단위 2회 분할 지급)
※ 신청일 기준 3개월 거주여부 확인 후 지급
※ 분할 지급기간 중 타시군 전출시 지원불가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통장사본 등
문 의 처
- 인구청년추진단 인구정책담당 055-670-2702
-
전입일 기준 2년 이전부터 다른 시군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1명 이상 전입하여 3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세대
-
전입자 주민세, 재산세(주택분) 지원 자세히보기
지급대상
-
전입일 기준 2년 이전부터 다른 시군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2명 이상 전입한 세대
※ 1인 전입 후 6개월 이내 추가 1인 전입으로 2인 구성 세대 포함
지원내용
- 전입일 기준 2년간 부과된 납기 내 주민세, 재산세(주택분)
- 선납 후 청구에 의해 전입일 기준 2년간 부과된 납기 내 주민세, 재산세(주택분) 지급
※ 재산세(주택분)은 고성군 주소지의 재산세로 연간 최대 10만 원 지원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통장사본, 납부확인서(영수증)
※ 영수증 분실 시 해당 읍면 재발급 가능
문 의 처
- 인구청년추진단 인구정책담당 055-670-2702
-
전입일 기준 2년 이전부터 다른 시군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2명 이상 전입한 세대
-
근로자 전입지원금 자세히보기
지급대상
-
전입일 기준 2년 이전부터 다른 시군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고성군으로 전입신고를 한 후 1년 이상 거주한 근로자
(고성군에 공장 등록된 기업체 근로자 '18. 1. 1. 이후 고성군 전입자 대상)
지원내용
- 근로자 전입지원금 30만원(1회)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재직증명서, 주민등록초본
문의처
- 경제기업과 기업투자담당 055-670-2312
-
전입일 기준 2년 이전부터 다른 시군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고성군으로 전입신고를 한 후 1년 이상 거주한 근로자
-
지급대상
- 전입신고일을 기준으로 다른 시·군·구에 주민등록을 2년 이상 두고 있다가 전입신고한 세대
지원내용
- 2개월 입장료 면제 (강습 시 1만원 추가)
- 1년간 이용료 (입장료+강습비) 50% 할인
신청방법
- 문화체육센터 수영장 방문신청
- 고성해양레포츠아카데미 수영장 방문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비치)
- 주민등록초본 (주소변동내역포함)
문의처
- 스포츠산업과 해양레포츠담당 055-670-4722
- 스포츠산업과 체육시설담당 055-670-5842
-
청년 월세 지원 자세히보기
지급대상
-
(경상남도)
- ∘ 관내 거주 18~49세 이하 부모님과 별도거주 무주택 청년
- ∘ 청년 본인 중위소득 60%초과 150% 이하 건강보험료 기준
※ '24년 기준 1,337,067 ~ 3,342,668원
-
(국토부)
- ∘ 관내 거주 19세~34세 이하 부모님과 별도거주 무주택 청년
- ∘ 원가구(부모+청년):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 청년독립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지원내용
- 경상남도: 월 최대 20만원, 12개월
-
국토부: 월 최대 20만원, 12개월 / '25. 2월까지 신청 모집(2차)
- ※ 중복지원 불가
신청방법
-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복지로 www.bokjiro.go.kr)
구비서류
- 신청서, 관련서류(임대차계약서, 월세이체 증빙서류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3
-
(경상남도)
-
고성청년센터 운영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청년 및 주민
지원내용
-
매달 다양한 청년 교육 및 취미 프로그램 운영
※ 프로그램 신청: 고성군 홈페이지 통합예약시스템 -
청년센터 공간 대여를 통해 청년 거점 공간 조성
※ 운영시간: 평일 09:00 ~ 21:00 (토요일은 대관 예약 시 이용 가능, 일요일 미운영)
신청방법
- 고성청년센터 방문 또는 유선 접수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4
- 고성청년센터 055-670-4383~4386
-
고성 청년 둥지 적금 지원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성군에 3년 이상 거주한 청년으로 기준중위소득 130%이하인 18세~49세 청년 60명
지원내용
- 청년과 고성군이 1:1 매칭(100,000원+100,000원)으로 12개월 적립식 적금 지원
신청방법
- 방문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3
-
청년 시험 응시료 지원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성군에 거주하는 18∼49세 청년 50명
- ∘ 응시료 지원은 2025. 1. 1.부터 응시료 신청일까지 계속해서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자
지원내용
-
청년 1인 최대 10만원 한도 시험응시료 지원
분야, 지원시험, 비고의 정보를 제공하는 청년 1인 최대 10만원 한도 시험응시료 지원 표 입니다. 분야 지원시험 비고 어학
시험• 영어
TOEIC, TOEIC Speaking, TEPS, TOEFL, IELTS, G-TELP, OPIC, FLEX, SNULT
• 영어 외
HSK·TSC·BCT(중국어), JPT·JLPT(일본어), DELE(스페인어), TORFL(러시아어), DALF·DELF(프랑스어), Test DaF·Geothe Zertifikat(독일어), OPIC(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베트남어), FLEX·SNULT(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독일어, 프랑스어)자격
시험• 국가기술자격증, 국가전문자격증
-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www.q-net.or.kr▶국가자격시험▶자격정보▶국가자격종목별상세정보)
• 국가공인민간자격증
- 민간자격정보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pqi.or.kr▶자격정보▶민간자격▶민간자격현황▶공인민간자격현황
▶엑셀다운로드)한국사 • 국사편찬위원회 주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신청방법
- 방문신청(수시)
구비서류
- 신청서, 시험응시 및 응시료 납부 증빙서류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4
- 고성군에 거주하는 18∼49세 청년 50명
-
청년부모 복덩이통장 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둔 청년 부모가 낳은 출생아 30명
- ∘ 출생아 기준: 공고일 기준 0세
- ∘ 부모기준: 공고일 기준 부 또는 모가 청년(18 ~ 49세)
지원내용
-
부모, 고성군 1:1(100,000원+100,000원) 매칭으로 12개월 적립식 적금 지원
※ 선정 시 사업기간 동안 신청자 및 출생자녀의 고성군 주소 유지 필수
신청방법
- 방문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주민등록등·초본, 건강보험납부확인서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3
-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둔 청년 부모가 낳은 출생아 30명
-
청년동아리 ‘다모아’ 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공고일 기준 고성군에서 거주 또는 활동하고 있는 최소 5명으로 구성된 청년동아리
※ 여러개의 동아리에 소속되어 있어도 1개의 동아리 사업만 지원 가능
지원내용
- 동아리 홍보비, 임차비, 물품구입비, 강사비 등 지원(최대 240만원)
※ 2025년 5개팀 지원 예정
신청방법
- 방문접수
구비서류
- 활동신청서 및 계획서,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3
- 공고일 기준 고성군에서 거주 또는 활동하고 있는 최소 5명으로 구성된 청년동아리
-
대학생 행정체험 청년일자리사업 자세히보기
선발대상
- 본인 또는 부모가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둔 18~49세 이하의 대학교 재·휴학생 또는 예비대학생
업무내용
- 방학기간 동안 군청을 비롯한 읍·면사무소에서 행정 업무 지원
선발방법
- 온라인(고성군 통합예약 시스템) 신청 후, 무작위 공개추첨
구비서류
- 신청서, 개인정보수집이용제공동의서, 등본, 대학교 재(휴)학 증명서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4
-
취업청년 생활지원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공고일 기준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둔 18~49세 이하의 청년으로 관내 소재 제조업 등 관련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청년
- 주 40시간 이상 3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으며, 중위소득 150% 이하
지원내용
- 생활지원금으로 월20만원, 분기별 60만원 모바일 고성사랑상품권 지급(최대 12개월 지원)
신청방법
- 방문 접수
구비서류
- 신청서, 개인정보수집이용제공동의서, 주민등록 초본, 근무확인서, 4대보험가입내역서, 직전 3개월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현 근무처 사업자등록증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4
-
청년인턴 자세히보기
신청대상
-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둔 18세~49세 이하의 청년으로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자
지원내용
- 청년에게 행정 실무 경험의 일자리 기회 제공(청년센터 근무)
선발시기
- 매년 상·하반기 선발(상반기: 12월 중, 하반기: 6월 중)
선발방법
- 서류전형(1차) → 면접시험(2차)
구비서류
- 응시원서, 자기소개서, 최종 학교 졸업증명서,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 주민등록초본, 기타 증빙서류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4
-
고성형 청년 일자리 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5인 이상인 고성군 내 사업자 중 청년 근로자를 고용한 기업
지원내용
- 기업: 청년을 고용한 기업에 인건비 월 100만 원 8개월 지원
- 청년: 근속장려금 240만 원 지원(인건비 지원 이후 6개월 단위로 120만 원씩 2회 지급)
모집시기
- 2025. 4월 중
신청방법
- 방문접수(고성군 인구청년추진단)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4
-
창업하면 고성스쿨(고성 창업 아카데미)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성군에 거주하는 청년으로 예비창업자 또는 2년 미만 기 창업자 5명
지원내용
- 예비 및 기 창업자에 대한 창업지원비 지원 및 창업프로그램 1회 진행
- ∘ 시제품제작, 운영비, 공간임차료 등 간접비 15,000천 원 지원
- ∘ 창업 맞춤형 컨설팅, 창업교육반 운영 등
모집시기
- 2025. 1. 중
신청방법
- 방문접수(고성군 인구청년추진단)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청년정책담당 055-670-2714
-
청년어촌정착 지원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40세 미만 수산업경영 3년 이하의 청년어업인(예정자포함) 중 자격요건 및 사업계획서 등을 평가하여 대상자로 선정한 자
지원내용
- 수산업 경영비 및 어가 가계자금 월별지원
(1년차 매월 1,100천원, 2년차 매월 1,000천원, 3년차 매월 900천원)
신청방법
- 해양수산과 방문 신청(전년도 하반기)
구비서류
- 사업신청서(동의서 포함), 사업계획서, 금융기관 신용정보조회서, 어업 또는 양식업 면허·허가·신고 관련서류(해당분야), 어업 경영체등록 확인서, 가족관계증명서, 사업자등록증명
문의처
- 해양수산과 수산행정담당 055-670-2454
-
청년후계농 농지 임대료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대상자: 도내 18세 이상 ~ 50세 미만 청년농업인 중 우선 지원 순으로 지원
* '25년도 사업 신청가능 연령: 1975. 1. 1. ~ 2007. 12. 31. 출생자 - 지원조건: 신청일 현재 군내에 거주하면서 실제 영농에 종사하는 자
- ∘ (1순위) 청년후계농 선발자 중 지자체 또는 한국농어촌공사(농지은행사업)를 통해 농지 및 시설하우스를 임대차한 경우
- ∘ (2순위) 18세 이상 50세 미만 청년농업인 중 지자체 및 한국농어촌공사(농지은행)를 통해 농지 및 시설하우스를 임대차한 경우
- ∘ (3순위) 농지법상 임대차가 가능한 농지에 한해 개인간 농지 및 시설임대차계약인 경우 농지임대료 50% 지원
※ 개인간 임대차는 본인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비속 간의 계약은 지원 제외
사업내용
- 지원내용: (기관 임대차) 임대료 80%, (개인 임대차) 임대료 50% 지원
- ∘ 1인당 최대 3년간 지원
- 지원한도: 1인당 연간 5백만원
신청방법
- 농촌정책과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사업신청서,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 농어촌공사 농지임대차 계약서, 임대료 납부영수증, 주민등록등본, 임대료 환급내역 등
문의처
- 농촌정책과 인력육성담당 055-670-4133
- 대상자: 도내 18세 이상 ~ 50세 미만 청년농업인 중 우선 지원 순으로 지원
-
지원대상
- 고성군 청년후계농으로 지정된 자
- 사업신청 접수 후 서면 및 면접평가(외부위원)를 통해 선발
지원내용
- 영농정착 지원금: 독립경영 연차에 따라 매달 바우처 형식으로 영농정착 지원금 지원
영농정착 지원금의 정보를 제공하는 반응형 가로스크롤형 표 입니다. 구분 지원 1년차 지원 2년차 지원 3년차 합계 독립경영 1년차 110만원 100만원 90만원 3,600만원 독립경영 2년차 100만원 90만원 - 2,280만원 독립경영 3년차 90만원 - - 1,080만원 - 후계농업경영인 융자
- ∘ 대출한도: 세대당 최대 5억 원
- ∘ 상환기간: 5년 거치 20년 균등 상환
- ∘ 대출금리: 연 1.5%(고정금리)
- ∘ 자금용도: 농지구입 및 임차, 시설 설치 및 임차, 농기계 구입 등
신청방법
- 농림사업정보시스템(Agrix)를 통해 직접 신청
구비서류
- 영농계획서, 건강보험료 부과내역, 가족관계 증명서, 금융기관 신용조사서, 농업계 학교 졸업증명서 또는 농업교육 이수증, 기타 평가에 반영될 수 있는 증빙자료 일체
문의처
- 농촌정책과 인력육성담당 055-670-4133
- 고성군 청년후계농으로 지정된 자
-
청년농업인 취농직불제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관내에 실제 거주하는 40세 이상 ~ 50세 미만 독립경영 5년
이하(독립경영 예정자 포함) 청년농업인
- ∘ '25년 사업 신청 가능: 1975.1.1. ~ 1984.12.31. 출생자 / 2020.1.1.이후 경영주 등록자
지원내용
- 지원금액: 1인당 1년간 최대 12백만원
- 자금용도: 영농자금 및 일반 가계자금 모두 활용 가능
- 지급방법: 농협 직불카드를 발급하여 바우처 방식으로 지급
- 의무사항: 교육이수, 전업적 영농유지, 경영장부 기록 및 제출 등
신청방법
- 주소지 읍·면사무소
구비서류
- 신청서, 기타 필요한 서류(영농계획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병역관련 증명서, 사업자 등록사실 증명원 등)
문의처
- 농촌정책과 인력육성담당 055-670-4132
- 관내에 실제 거주하는 40세 이상 ~ 50세 미만 독립경영 5년
이하(독립경영 예정자 포함) 청년농업인
-
청년농업인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동일 또는 인접 시군에 거주하는 5명 이상의 18세 이상 50세 미만 청년농업인으로 구성된 단체(동아리)
- ∘ 단체(동아리) 구성 기준
․ 동아리 구성원은 농업경영체 등록농업인, 예비농업인(영농희망자, 농업계 관련 학교(학과)재학 및 졸업생으로 구성하며, 농업경영체 등록 농업인 60%(3명) 이상으로 구성
․ 농업과 무관한 사업체를 경영하거나 상근직원으로 채용되어 급여를 받는 자는 제외
․ 동아리 구성원 5명이상 유지(구성원 중 포기자 발생 시 새로운 구성원을 추가) * 익월 활동까지 동아리 구성원이 5명 미만 시 사업 취소
․ 구성원이 동아리 활동에 연속 3회 이상 미참여 시 사업포기자로 간주
- ∘ 단체(동아리) 구성 기준
지원내용
- 사무실(커뮤니티공간) 임대료, 공공요금, 강사료, 간담회비, 컨설팅 경비, 회의비, 홍보비 등
신청방법
- 주소지 읍·면사무소
구비서류
- 신청서, 활동계획서, 참여자 명단,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병역 관련 증명서, 사업자 등록사실 증명원 등
문의처
- 농촌정책과 인력육성담당 055-670-4133
- 동일 또는 인접 시군에 거주하는 5명 이상의 18세 이상 50세 미만 청년농업인으로 구성된 단체(동아리)
다자녀 세대 지원
-
다자녀세대 체험놀이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부모와 자녀 모두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1가구 2자녀 이상 세대
※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세대
지원내용
- 1인당 2만원 상당 이용권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주민등록등본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인구정책담당 055-670-2702
-
부모와 자녀 모두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1가구 2자녀 이상 세대
-
세자녀 이상 가정 장학금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부모와 해당 학생 모두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1가구 3자녀 이상 가정에 속한 관내 초·중·고등학교 재학생
지원내용
- 초·중·고: 가구당 300천원, 80명
선발방법
- 1순위: 다자녀 수, 2순위: 소득 기준, 3순위: 거주기간
신청방법
- (재)고성교육재단 직접 신청(별도 장학금 신청 기간 내)
구비서류
- 장학금 신청서, 보호자 통장사본,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재학증명서, 법정 저소득층 증명서류(해당자)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평생학습담당 055-670-2612
-
다자녀세대 자동차 취득세 감면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18세 미만의 자녀 2명 이상을 양육하는 자
지원내용
- 6인승 이하 승용차 3자녀 이상 140만원, 2자녀 이상 140만원 이하의 경우 100분의 50, 140만원 초과 70만원 감면
신청방법
- 재무과 방문 신고
구비서류
- 차량등록서류, 가족관계증명서
문의처
- 재무과 세정담당 055-670-2252
-
주민등록표 등·초본 무료 발급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부모와 자녀 모두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1가구 2자녀 이상 세대
※ 18세 이하 자녀
지원내용
- 등·초본 무료 발급
신청방법
- 등·초본 발급시 담당자에게 요청
구비서류
- 신분증
문의처
- 열린민원과 일반민원담당 055-670-2152
-
부모와 자녀 모두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1가구 2자녀 이상 세대
-
자동차 번호판 교체비 지원 자세히보기
지급대상
-
부모와 자녀 모두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1가구 2자녀 이상 세대
※ '21.1.1. 이후 둘째아이 출산 세대
지원내용
- 자동차 번호판 교체비 지원
신청방법
- 열린민원과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주민등록등본, 통장사본
문의처
- 열린민원과 일반민원담당 055-670-2152
-
부모와 자녀 모두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1가구 2자녀 이상 세대
-
쓰레기 봉투 지원 자세히보기
지급대상
- 부모와 자녀 모두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1가구 2자녀 이상 세대
지원내용
- 쓰레기 봉투 연20L 60매 지급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문의처
- 환경과 자원순환담당 055-670-2422
-
공공시설 입장료 면제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부모와 자녀 모두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1가구 2자녀 이상 세대
※ 18세 이하 자녀
지원내용
- 공공시설 입장료 면제[문화체육센터 수영장(강습시 1만원 추가), 고성해양레포츠아카데미 수영장, 당항포관광지, 고성공룡박물관]
신청방법
- 문화체육센터 수영장 방문 신청(고성읍 소재)
- 고성해양레포츠아카데미 수영장 방문 신청(회화면 소재)
- 고성공룡박물관 매표 시 방문 신청
- 당항포관광지 매표 시 방문 신청(엑스포 기간 제외)
구비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문의처
- 스포츠산업과 체육시설담당 055-670-5842
- 스포츠산업과 해양레포츠담당 055-670-4722
- 상족암군립공원사업소 관리담당 055-670-4452
- (재)고성문화관광재단 055-670-7412
-
부모와 자녀 모두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1가구 2자녀 이상 세대
-
전기료 감면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가구원 중 자녀가 3인 이상인 가구
지원내용
- 월 전기요금 30%(감면 최대 16,000원 한도)
신청방법
- 한국전력공사 문의 123
-
도시가스 요금 감면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세대주와의 관계가 자 3인 이상 또는 손 3인 이상으로 표시된 주거용 주택의 세대주
지원내용
- 동절기 최대 18,000원 경감
- 기타월 최대 2,470원 경감
신청방법
- 경남에너지 문의 080-260-4000
결혼·출산·양육 지원
-
결혼축하금 지원 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19세부터 49세까지 부부(혼인신고일 기준)
단, 부부 중 한 명의 주소지가 혼인신고일 기준 6개월 이전부터 계속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어야 하며, 신청일 기준 부부 모두 고성군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부부
※ 혼인신고일로부터 6개월 이내 신청
지원내용
- 결혼축하금 200만원(50만원/50만원/100만원, 3회 분할 지급)
※ 생애 1회 한정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혼인관계증명서, 신분증, 통장사본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인구정책담당 055-670-2702
-
19세부터 49세까지 부부(혼인신고일 기준)
-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2024. 8. 8. 이후 육아휴직을 시작한 남성근로자로 신청일 기준 고성군에 1년 이상 계속 주민등록을 두고 있고, 육아휴직 대상 자녀와 동일 주민등록 세대를 이루고 있는 육아휴직자
지원내용
-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월 30만원 지원(최대 1년간)
- ∘ 육아 휴직 기간이 12개월 미만인 경우 실제 휴직한 기간만큼 지원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육아휴직 급여 지급결정통지서, 육아휴직 확인서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인구정책담당 055-670-2702
-
첫만남이용권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출생신고를 하고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으로 주민등록상 생년월일로부터 2년이 초과하지 않은 아동
지원내용
-
(지원금액) 첫째아 200만원, 둘째아 이상 300만원의 이용권
※ '24. 1. 1. 이전 출생아는 출생순위 구분 없이 200만원 -
(지급방식)
- ∘ 원칙: 국민행복카드 지급
- ∘ 예외: 현금(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아동에게는 ‘디딤씨앗통장’ 지급)
- (사용기간) 아동 출생일(주민등록상 생년월일)로부터 1년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출생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신분증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인구정책담당 055-670-2702
-
출산장려금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신생아 출생일 또는 입양일 기준 부 또는 모와 자녀(기 출산한 자녀가 있는 경우) 모두가 6개월 이전부터 계속 군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으면서 출생신고를 한 부모
※ 6개월 미만인 경우 6개월 경과 후 신청 가능
지원내용
- 첫째아: 100만원(50만원/50만원, 2회분할)
- 둘째아: 200만원(100만원/100만원, 2회분할)
- 셋째아 이상: 500만원(300만원/100만원/100만원, 3회 분할 지급)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출생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신분증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인구정책담당 055-670-2702
-
신생아 출생일 또는 입양일 기준 부 또는 모와 자녀(기 출산한 자녀가 있는 경우) 모두가 6개월 이전부터 계속 군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으면서 출생신고를 한 부모
-
한방 첩약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셋째아이 이상 출산모(단, 셋째아이 출생일 기준 6개월 이내 신청자에 한함)
지원내용
-
관내 한의원에서 한약 1제(20만원 상당)
- ∘ 고성군 14만원, 한의원 협회 6만원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출생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신분증 등
문의처
- 인구청년추진단 인구정책담당 055-670-2702
-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및 지원금액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 한부모가족의 18세 미만 자녀[단, 고등학교 재학(고3 12월까지) 중인 경우 22세 미만 자녀] → 1인당 월 23만원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25세 이상 34세 이하의 한부모가족으로 18세 미만의 자녀(추가양육비) → 5세 이하 아동 1인당 월 10만원, 6세 이상 18세 미만 아동 1인당 월 5만원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조손 가족 및 35세 이상미혼 한모부가족 → 5세 이하 자녀 1인당 월 5만원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및 온라인 신청(복지로 www.bokjiro.go.kr)
구비서류
-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통장사본
문의처
- 복지지원과 여성친화담당 055-670-2382
-
청소년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5% 이하인 청소년 한부모(24세이하) 자녀 0~1세
지원내용
- 1인당 월 40만원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및 복지로 온라인 신청(복지로 www.bokjiro.go.kr)
구비서류
-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통장사본
문의처
- 복지지원과 여성친화담당 055-670-2382
-
한부모가족 자립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 저소득 한부모가족 세대
(단, 기초생계급여 수급자, 에너지바우처, 등유 바우처, 연탄쿠폰, 긴급복지 연료비 등 에너지 관련 수급자 제외)
지원내용
- 난방연료비: 세대 연 40만원
- 건강관리비: 세대 연 20만원
- 방과후자녀학습비: 중·고등학생 자녀 연60만원
※ 난방연료비, 방과후자녀 학습비는 하반기 시행예정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신청
구비서류
- 난방연료비: 저소득한부모 신청으로 갈음
- 건강관리비: 신청서, 진단서, 소견서 등(의료비 증빙)
- 방과후자녀학습비: 신청서, 통장사본, 영수증
문의처
- 복지지원과 여성친화담당 055-670-2382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 저소득 한부모가족 세대
-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청소년 부모가구(자녀를 양육하는 부모가 모두 24세 이하인 가구)
지원내용
- 청소년 부모 자녀 1명당 아동양육비 월 25만원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신청서
문의처
- 복지지원과 여성친화담당 055-670-2382
-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기준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7세~ 18세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내용
- 저소득 다문화 자녀 교육활동비 지원
→ 초등 연400천원, 중등 연500천원, 고등 연600천원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가족센터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문의처
- 복지지원과 여성친화담당 055-670-2382
- 고성군가족센터 055-673-1466
-
부모급여(영아수당)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2022. 1. 1.이후 출생아, 2세 미만의 아동
지원내용
-
현금 또는 바우처 형태로 지급(0~11개월 영아 월 100만원, 12~23개월 영아 월 50만원)
- ∘ 가정양육 시 부모급여(현금), 어린이집 이용 시 부모급여(보육료 바우처),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부모급여(종일제 아이돌봄 바우처)
- ∘ 바우처 지원금액이 부모급여 지원금액보다 작은 경우 차액 지급
신청방법
-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복지로 www.bokjiro.go.kr)
구비서류
- 출생증명서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보육돌봄담당 055-670-4652
-
아동수당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8세 미만(0 ~ 95개월) 아동
지원내용
- 월 10만원 현금 지급
신청방법
- 방문신청, 온라인 신청(복지로 www.bokjiro.go.kr)
구비서류
- 통장사본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아동친화담당 055-670-2622
-
아동발달지원계좌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18세 미만 보호대상아동 및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지원내용
- 지원대상 입금액에 따라 정부 매칭 최대 월10만원 지원(1:2매칭)
신청방법
- 방문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적립 및 사용계획서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아동친화담당 055-670-2622
-
입학준비금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어린이집 입학 신입생 아동
지원내용
- 1인당 8만원
신청방법
- 어린이집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입학준비금 납부영수증, 통장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보육돌봄담당 055-670-4652
-
아이돌봄 지원(본인부담금)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3개월 이상 ~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정(둘째아 이상~)
지원내용
- 본인부담금 지원(둘째아 50%, 셋째아 이상 100%)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통장사본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보육돌봄담당 055-670-4652
-
아이돌봄 서비스 본인부담금 추가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주민등록상 경상남도 주소지를 둔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정
지원내용
- 중위소득별 10~40%의 본인부담금 추가 지원
- ∘ (중위소득 120%이하) 10% 지원 / (120초과 ~ 150% 이하) 35% 지원
- ∘ (중위소득 75% 초과 ~ 120% 이하) (2015.12.31.이전 출생) 35% 지원
- ∘ (중위소득 150% 초과) 40% 지원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양육공백 입증서류, 통장사본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보육돌봄담당 055-670-4652
-
아이돌봄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3개월 이상 ~ 12세 이하 아동
지원내용
- 찾아가는 돌봄 서비스 제공(시간제, 종일제)
신청방법
-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복지로 www.bokjiro.go.kr)
구비서류
- 양육공백 발생 증명할 수 있는 서류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보육돌봄담당 055-670-4652
-
병원이용 아동돌봄 서비스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성군에 주소를 둔 3개월 이상 12세 이하 아동(병원통원, 입원필요아동)
지원내용
- 간병(병원동행, 복용지도 등) 및 정서적 돌봄 서비스 및 본인부담금 지원
- ∘ 1인 연간 40시간 이하
- ∘ 1시간 13,000원(1등급 90% 지원, 2등급 70% 지원, 3등급 50% 지원)
신청방법
- 주소지 읍면사무소 및 서비스 제공기관(경남돌봄지원센터)
구비서류
- 정부지원 관련 증명서(해당 세대),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확인서, 통장사본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보육돌봄담당 055-670-4652
-
신혼예비부부 건강검진비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신혼예비부부 중 한명의 주소지가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전부터 군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자로 첫 임신을 계획중인 신혼예비부부 또는 혼인신고 3년 이내
지원내용
- 1차 검진은 보건소 무료 남녀
- 2차 검진비 9만원 지원 여(강병원 산부인과)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혼인관계증명서,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65
-
영유아 영양제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12~24개월 보건소 등록 영유아
지원내용
- 영양제 지원 (유산균)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임산부 영유아 영양플러스 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임산부 및 0~72개월 미만 영유아
지원내용
- 매월 2회 맞춤형 보충식품 지원(분유, 쌀, 멸균우유, 감자, 당근, 계란 등) 맞춤형 영양관리 교육 및 상담
신청방법
- 보건소 전화상담 후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산모수첩 또는 임신 확인증,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증, 건강보험료 납입증명서 등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기저귀 및 조제분유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 80%이하 장애인, 기준 중위소득 80%이하 다자녀 2인 이상가구,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족 자격보유가구
지원내용
- 기저귀 지원(중위소득 80% 이하 가구)
- 조제분유(기저귀 지원대상 중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경우)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복지로 www.bokjiro.go.kr)
구비서류
- 주민등록등본,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신생아 청각난청 선별검사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영아 및 영유아
지원내용
- 선천성 난청 선별검사(AOAE, AABR) 및 확진검사의(일부) 본인부담금 지원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진료비 영수증,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지원내용
- 미숙아 의료비 1인당 최고 10백만원
-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1인당 최고 5백만원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진료비 영수증,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임산부 지원
-
미혼 한부모 산전 산후요양비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출산예정 4주전, 산후 6개월의 미혼모, 사산한 경우의 미혼모 (도내 6개월 이상 거주자에 한함)
지원내용
- 의료비 및 출산용품 등 1인당 100만원 (미혼모부자 거점기관 지원 대상자 및 기초생활수급자 해산급여대상자는 차액 지급)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신청
구비서류
- 병원 등에서 발급한 임신사실 확인서류 또는 출생증명서, 출생신고서 등
문의처
- 복지지원과 여성친화담당 055-670-2382
-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등록 여성장애인 중 출산한 자
- 등록 여성장애인 중 임신기간 4개월 이상의 태아를 사산 또는 유산한 자
지원내용
- 태아 1인당 120만원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복지로 www.bokjiro.go.kr)
구비서류
- 출생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 신분증, 통장사본
문의처
- 복지지원과 장애인복지담당 055-670-2532
-
산부인과 운영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둔 여성(~'26. 12. 31.까지 강병원 위탁운영)
지원내용
- 고성군민 무료 검사(가임기 풍진검사, 태아기형아 1·2차, 산전검사)
- 산부인과 외래진료
신청방법
- 방문 검사
구비서류
- 없음
문의처
- 보건소 보건행정과 의약담당 055-670-4042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난임부부로 의학적 진단을 받은 자
※ 난임진단서 필수
지원내용
- 시술비 지원(출산당 25회: 체외수정 20회, 인공수정 5회)
신청방법
- 고성군보건소 방문 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정부24)
구비서류
- 난임진단서,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난임부부로 의학적 진단을 받은 자
-
난임부부 기초난임진단 검진비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군내 주소를 둔 난임 부부
지원내용
- 부부 난임진단비 합산 20만원 이내 1회 지원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혼인관계증명서,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난임부부 한의치료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군내 주소를 두고 난임 검사상 기질적 이상 소견이 없는 난임 부부
지원내용
- 160만원 한도 내에서 한의치료 지원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난임진단서,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소득기준 상관없이 모든 출산가정 (출산예정일 40일 전~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
지원내용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이용권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복지로 www.bokjiro.go.kr)
구비서류
- 산모수첩,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산후 건강관리비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출생아 기준 관내 6개월 이전부터 모가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출생가정 소득, 출생아 수와 상관없이 지원
지원내용
- 100만원 지원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주민등록등본, 신분증, 통장사본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위험 임산부로 진단(19종 질환) 받은 임산부
지원내용
- 의료비 지원(입원치료비 급여 중 전액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진료비 90%)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입원치료비 영수증,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임산부 건강교실 운영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관내 주소를 둔 임산부, 출산·수유부, 가임기 여성
지원내용
- 임산부 건강교실 운영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임산부 엽산제․철분제․영양제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보건소 등록 임산부
지원내용
- 엽산제(임신초기~12주) / 철분제, 영양제, 유산균(임신 16주~)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산모수첩 또는 임신확인증, 신분증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출산가정 ('24. 1. 1. 이후 출산가정)
지원내용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본인부담금 90% 지원 (출생아당 최대 15일까지, 1회 지원)
신청방법
- 서비스 종료 후 90일 이내 보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분증, 출산증빙자료, 주민등록등본, 본인부담금 영수증, 통장사본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3
-
공공산후조리원 취약계층 감면료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관내 취약계층 산모(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 한부모가족, 다태아 또는 셋째자녀 이상을 출산한 산모, 다문화가족, 희귀난치성질환 앓고 있는 산모, 국가유공자 등)
지원내용
- 공공산후조리원(밀양) 이용료의 70% 지원(1인당 112만원 한도)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신청
구비서류
- 신분증, 감면신청서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3
-
생애초기 건강관리 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관내 거주하고 있는 임산부 및 24개월까지 영유아 가정(소득무관)
※ 외국인 포함
지원내용
- 전문교육을 받은 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가 직접 방문하여 산모 또는 영유아 건강관리 및 지역사회 연계 지원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및 전화 신청
- 무료
구비서류
- 산모 수첩 또는 아기 수첩
문의처
-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지원담당 055-670-4052
-
관내 거주하고 있는 임산부 및 24개월까지 영유아 가정(소득무관)
-
농가 도우미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관내 거주하고 있는 출산 또는 출산예정 여성 농업인(혼인신고한 외국인 포함)
※ 농업업경영체 등록한 자
지원내용
- 농가도우미 지원(1일 81,000원 중 68,850원(85%) 지원)
- 출산(예정)일 기준으로 출산 전 180일부터 출산 후 180일까지 360일 기간 중 신청, 360일 기간 중 90일 이용 가능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신청
구비서류
- 지원신청서, 출생(예정)증명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사업자등록증명원 또는 사실증명, 가족관계증명서, 농어업경영체등록확인서
문의처
- 농식품유통과 여성농업지원담당 055-670-4842
-
관내 거주하고 있는 출산 또는 출산예정 여성 농업인(혼인신고한 외국인 포함)
귀어․귀농․주거 지원
-
귀농인의 농지 취득세 감면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1년 이상 농촌 외의 지역에 거주하면서 농업에 종사하지 않은 자로서 고성군에 전입신고한 귀농인
지원내용
- 귀농일 이전 60일 ~ 귀농일 이후 3년 이내에 취득하는 농지에 대한 취득세 50% 감면
신청방법
- 재무과 방문 신고
구비서류
- 농지취득신고서,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 주민등록등본, 소득금액증명원
문의처
- 재무과 세정담당 055-670-2252
-
귀어 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융자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귀어업인: 65세 미만 어업인이 되기 위하여 농어촌으로 이주한 자로 전입일로부터 만 5년이 경과하지 않고, 전입일 이전 도시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하며, 최근 5년 이내에 해양수산부 및 지자체에서 인정하는 귀어 관련 교육을 35시간 이상 이수한 자
- 재촌비어업인: 65세 미만 농어촌지역에 주민등록이 1년 이상 되어 있으면서, 최근 5년 이내에 어업 또는 양식업 경영 경력이 없고, 해양수산부 및 지자체에서 인정하는 귀어 관련 교육을 35시간 이상 이수한 사람
지원내용
- 창업자금(대상자 당 3억원 이내)
-
주택구입 지원 자금(세대당 7천 5백만원 이내, 재촌비어업인 지원제외)
※100% 융자, 금리 1.5%, 5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
신청방법
- 해양수산과 방문 접수
구비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신용조사서, 가족관계증명서, 어업경영체 등록확인서(해당시), 교육이수증, 사업자등록증명(해당시)
문의처
- 해양수산과 수산행정담당 055-670-2452
-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융자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도시지역에서 농업 외의 산업분야에서 종사하는 자가 농촌으로 이주하여 농업에 종사, 농업관련 교육을 100시간 이수, 농촌지역 전입일로부터 만5년이 경과하지 않은 65세 이하인 자
지원내용
- 농업창업 자금(세대 당 3억원 이내)
-
주택구입, 신축 및 증․개축 자금(세대당 7천 5백만원 이내)
※100% 융자, 고정금리(연 2%) 또는 변동금리 중 선택, 5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
신청방법
- 농촌정책과 방문접수
구비서류
- 사업신청서, 귀농농업창업계획서, 주민등록등·초본,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교육이수실적증빙자료 등
문의처
- 농촌정책과 인력육성담당 055-670-4134
-
귀농세대 지원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65세 이하인 자
- 도시지역 거주 1년 이상, 농촌 전입일로부터 5년 이내인 영농종사자
- 농촌지역에 거주하면서 농업에 종사하지 않다가 농업을 전업으로 하는 자(경영체 등록 5년 이내)
지원내용
-
농기계 및 시설하우스 등 영농 관련 직․간접경비(50:50)
- ∘ 2명 이상 이주: 세대당 1,000만원
- ∘ 2명 미만 이주: 세대당 600만원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접수
구비서류
- 사업신청서,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 국민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주민등록등․초본, 견적서 등
문의처
- 농촌정책과 인력육성담당 055-670-4134
-
농촌대학 운영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성군에 거주하는 영농종사자(예정자 포함)
지원내용
- 연 25회 내외 / 100시간 내외 강의 지원(학비 무료)
신청방법
- 읍·면사무소 방문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문의처
- 농촌정책과 인력육성담당 055-670-4135
-
고성군에 거주하는 영농종사자(예정자 포함)
-
빈집정비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1년 이상 방치된 빈집(주택)을 철거하려는 소유자
지원내용
-
빈집 철거 시 호당 최대 200만원 보조금 지원
※ 환경과 슬레이트 지붕 지원사업과 연계
신청방법
- 별도의 신청기한 내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행정정보공동이용 사전동의서, 건물 소유권 증빙서류, 사업계획서
문의처
- 건축개발과 건축행정담당 055-670-2192
-
농어촌 주택개량사업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본인 소유 노후 주택을 신축․개량하고자 하는 자
- 농어촌지역에 거주하고 있거나 거주하려는 무주택자
- 도시지역에서 농촌지역으로 이주하려는 자로서 융자대출 신청일 이전까지 도시지역의 주택을 처분하여 증빙서류 제출이 가능하고 사업대상 주택에서 전입신고 후 거주하려는 자
- 내‧외국인 근로자 복지를 위해 주택(숙소)을 제공하고자 하는 농어촌지역의 농어업분야 입주기업(법인) 및 농촌지역 거주 농업인(근로자 고용 개인사업주)
- 「농어촌정비법」에 따라 국고보조금을 지원받은 신규(전원)마을조성사업 입주예정자가 분양받은 조성용지에 주택을 건축하려는 자(1세대 2주택 예외 가능)
- 빈집정비등록관리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농촌 빈집을 개량, 철거 후 신축하여 해당 주택에서 거주하려는 자(1세대 2주택 예외 가능)
지원내용
- 연면적 150㎡이하 단독주택의 신축․개량에 소요되는 비용을 시중 보다 저금리로 융자지원
- 고정금리 연 2%, 변동금리 중 선택 가능하며 청년*일 경우 고정금리 연 1.5%
신청방법
- 별도의 신청기한 내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 건축법에 따른 착공신고 전까지 사업 신청 가능
구비서류
- 신청서, 사업대상자·배우자(가족관계등록부상)·세대원(직계존비속)의 주택보유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재산세 과세증명서 등), 신분증
문의처
- 건축개발과 건축행정담당 055-670-2192
-
신혼부부 주거자금 대출이자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성군에 거주할 목적으로 금융권에서 주거자금을 대출받은 신혼부부
- ∘ 부부 모두 고성군에 주민등록(혼인신고일로부터 5년 이내 신혼부부)
- ∘ 국민주택 이하 기준(단독, 다가구, 주거용 오피스텔 등)
- ∘ 거주 목적으로 금융권에서 주거자금 대출을 받은 자
- ∘ 부부 합산 연소득 1억원 이하
- ∘ 최소 선정 시점부터 최대 7년 이내 지원(매년 동 지원자격 유지인 경우)
지원내용
- 주거자금 대출잔액의 이자(연3%이내)를 연 최대 300만원지원(12개월)
신청방법
- 건축개발과 방문 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서약서 및 동의서 각 1부
- 혼인관계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각 1부
- (주택 소유) 재산세 과세증명서(전국 주택분대상) 1부
(무주택) 미과세증명서(전국 주택분대상) 1부 - (소득이 있는 경우) 국세청 소득금액 증명원 1부
(소득이 없는 경우) 소득없음 사실증명원 1부 - (전세자금) 임대차계약서 사본 또는 전세권설정등기 등 1부
(주택구입자금) 부동산 등기부 등본 1부 - 금융권 발행 주거자금 대출 확인서류 1부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1부
- 통장사본 및 신분증 각 1부
문의처
- 건축개발과 공동주택담당 055-670-2272
-
고성군에 거주할 목적으로 금융권에서 주거자금을 대출받은 신혼부부
교육 지원
-
다문화가족 행복한 학교 운영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다문화가족 자녀 중 초등학교 재학 중인 아동
지원내용
- 방학 중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프로그램 지원 등
신청방법
- 고성군 가족센터 방문 신청(고성읍 성내로135번길 10-1)
문의처
- 복지지원과 여성친화담당 055-670-2382
- 고성군가족센터 055-673-1466
-
이주여성 국적취득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국적취득을 준비하는 관내 결혼이민여성
지원내용
- 국적취득 관련 상담, 필요서류 안내
신청방법
- 고성군가족센터 방문 신청
문의처
- 복지지원과 여성친화담당 055-670-2382
- 고성군가족센터 055-673-1466
-
청소년 꿈키움 바우처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둔 13~18세 청소년(2007~2012년생)
지원내용
-
매월 5~7만원씩 바우처 형태로 지원
13~15세: 5만원 / 16~18세: 7만원
신청방법
- 읍·면 사무소 방문 신청
구비서류
- 꿈키움바우처 지원신청서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청소년담당 055-670-4662
-
평생교육원 수강료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전국 대학 평생교육원을 수료한 고성군민
지원내용
-
평생교육원 수강료 지원(수강료의 50%, 1인당 최대 10만원)
※ 저소득층, 장애인, 국가유공자, 다문화가정 여성 등은 수강료의 70%, 1인당 최대 15만 원
신청방법
- 평생교육기관 수강신청 후 신청서, 통장사본 제출 (방문, 우편, FAX)
구비서류
- 신청서, 통장사본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평생학습담당 055-670-2612
-
평생학습 우수동아리 지원 자세히보기
지원대상
- 군민 성인 10명 이상으로 구성된 학습동아리
지원내용
- 심사를 통해 1개소당 100만 원 지원, 총 12개소
신청방법
- 교육청소년과 방문 제출
구비서류
- 신청서, 사업계획서, 개인정보제공동의서, 통장사본 등
문의처
- 교육청소년과 평생학습담당 055-670-2612
담당부서인구청년추진단 인구정책담당